Q & A

Q & A

Re..수입자동차의 내구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211.♡.225.122) 댓글 0건 조회 2,602회 작성일 02-01-31 21:32

본문

||


안녕하세요...
많은 분들이 주시는 질문의 유형이군요...
아무래도 점점 수입자동차의 보유가 많아지기 때문이겠지요.

이제 세계에서 자동차 생산국으로는 6위를 차지하는 우리나라더군요
해서 현재 생산되는 국산차는 수출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지는 만큼 품질이나 완성도면에서 어느 나라 차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자동차로 만들고 있다고 할 수 있겠지요

그런데 지금까지는 왜 다른 나라는 평균 15~20년씩 사용하고 폐차를 하는데 우리나라는 8~9년만에 폐차를 해왔던 걸까요.
자동차 할부가 끝나거나 7~8만 키로를 사용 하고 나서 교체를 하고 10만 키로를 넘기면 폐차를 하고... 했던 게 우리의 자동차 문화였지요.

그것은 자동차에 대한 지식부족과 질 낮은 서비스.. 등 때문에 생긴... 새차,중 대형차를 선호하는 기형적인 문화 때문이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자동차의 성능과 내구성 때문이었기도 했던게 사실이지요...

자동차가 명성을 얻게 되는 것은 성능과 그 성능을 뒷받침하는 내구성 일것입니다.
요즘 국내 차종 중에서 10년을 생각하고 만든 차가 어느새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 차종은 디자인의 변화 보다 내구성에 치중하고 자동차를 만든 결과 였던 거 같습니다.
세계의 명차들 역시 디자인의 변화는 성능의 개선보다는 즐기지 않았던 결과들 일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자동차의 명성을 쥐고 있는 내구성은 과연 어느 정도 사용기준을 두고 만드는 걸까요...
대부분 자동차의 성능은 50만키로를 사용해도 될만한 내구성을 갖도록 만들어 진다고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이상적인 희망이겠지요
운전자의 성향... 자동차에대한 지식.. 자동차의 주차시설..도로의 상태 등등
많은 변수가 자동차의 수명에 작용을 할 것입니다.

수입중고차를 advice하다보면 20년 가까이 된 차령의 자동차가 20만키로를 훨씬 넘었지만 아직도 주행성능과
각 부품들의 상태가 양호한 차도 있는 반면 5년을 지나 10만키로 정도를 탔을 뿐인데도 출고된 형태에서 많이 볼품이 없어진 경우도 적지 않게 접하게 된답니다.

자동차의 내구성은 결국 어떤 조건으로 사용했느냐가 가장 자동차의 향후의 잔존성능을 가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수입중고차 역시 '얼마나 사용 했는가' 보다 '어떻게 다루었는가'가 구입의 결정에 영향을 더 많이 주었답니다.


길어진 답글이지만 왠지 궁금해 하시는 부분으로는 정작 시원스레 답변을 못드린거 같군요.
원래 짧은 대답 외에는 정답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일천한 운영자의 지식을 아쉬워하며 마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26건 49 페이지
Q & A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8 운영자 2367 02-14
57 영준 2396 02-08
56 운영자 2768 02-09
55 이용찬 2213 01-31
열람중 운영자 2603 01-31
53 James Park <jin 2244 01-26
52 히든카 2330 01-30
51 상영호 2176 01-22
50 운영자 2270 01-22
49 메일 2171 01-09
48 운영자 2342 01-09
47 궁금한사람 2244 12-30
46 이무진 2366 12-31
45 지선 2607 12-29
44 이무진 2551 12-31
43 paulsmirh 2417 12-28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