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핵심, 공간정보산업…전년 대비 일자리 2.2% 증가 > 국토교통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국토교통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공간정보산업…전년 대비 일자리 2.2% 증가

작성일 18-12-28 11:00

본문

btn_textview.gif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정보산업*의 종사자 수가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매출액도 8.5조원 규모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간정보산업은 사물의 위치와 관련된 수치지도, 지적도, 3차원 지도 등을 생산·가공·유통하거나 다른 융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공간정보산업 조사’ 결과 국내 공간정보산업의 총 매출규모는 8조 5,246억 원, 종사자 수는 58,646명, 사업체 수는 4,492개 사라고 발표했다.

‘2018년 공간정보산업 조사 결과’ 국내 공간정보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대비 약 2.2% 증가한 58,64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283명이 증가한 것으로, 공간정보산업 조사가 시행된 2013년 이후 6년간 15,852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 것이다.

특히, 사업체 당 평균 종사자 수는 약 13.1명으로 전년대비 약 0.5명(4.0%) 증가하였는데, 2012년 사업체 당 평균 종사자 수가 약 9.5명인 것을 감안할 때 고용부분에서도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최근 3년간 평균 종사자 수) 2015년 12.0명, 2016년 12.6명, 2017년 13.1명

업종별로는 공간정보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18.4%), 공간정보 엔지니어링 서비스업(▲5.1%) 등이 증가한 반면, 공간정보 영상장비 도매업(▼25.9%), 공간정보 장비도매업(▼3.4%) 등 도매업 분야 종사자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정보산업의 매출액은 8조 5,2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2억 원(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정보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당 평균매출액은 약 19억 원으로 전년 18.6억 원에서 약 0.4억 원(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평균매출액) 2015년 17.5억 원, 2016년 18.6억 원, 2017년 19억 원

업종별로는 공간정보 연구개발업(▲24.5%), 측량업(▲11.9%), 공간정보 엔지니어링 서비스업(▲7.2%) 등은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산업 발전 중장기 로드맵 추진과 자율주행·드론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 대한 기업들의 집중적인 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공간정보 전산장비 및 소프트웨어 도매업(▼29.9%), 공간정보 장비도매업(▼20.7%) 등 도매업 분야의 매출은 경기불황 여파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9.1%(영업이익 7,770억 원)로 전체 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 6.1%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공간정보산업이 고부가치산업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 (전체 산업군 영업이익률) 6.1%, (주요분야) 제조업(7.6%), 도매 및 소매업(2.8%),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2%) 등

한편 공간정보 사업체 수는 4,569개에서 4,492개로 소폭 감소하였으며, 종사자 10인 미만의 사업체가 61.2%(2,747개)를 차지하여 아직까지는 소규모 기업이 다수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종사자규모) 1-4인 1,958개(43.6%), 5-9인 789개(17.6%), 10-19인 692개( 15.4%), 20-49인 715개(15.9%), 50인 이상 338개(7.5%)

사업체 수의 감소는 공간정보산업 내에 국한된 것이라기보다는 공간정보와 연계된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내 전체 사업체 수의 감소(0.6%)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이번 산업조사 결과는 공간정보산업이 정부의 중장기 지원정책과 민간의 기술 투자가 결합되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이익률(9.1%)에서 제조업(7.6%), 도매 및 소매업(2.8%),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7.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2%) 등 다른 산업보다 이익률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여전히 높은 영세사업자의 비중, 경기변동에 민감한 도매업 부분 등은 건전한 산업 구조 형성을 위해 향후 정책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 손우준 국토정보정책관은 “그간 공간정보산업 진흥정책에 힘입어 최근 6년간 15,852명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공간정보산업이 국가경제 발전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공간정보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국토교통 통계누리, 공간정보산업진흥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portal/main/portalMain.do)
** 공간정보산업진흥원 누리집(http://www.spacen.or.kr)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7,006건 328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Hiddencar.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