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헬기안전 대책 T/F’ 26일 구성 운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05회 작성일 22-08-26 17:00

본문

btn_textview.gif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헬기 분야의 안전현황을 진단하고 헬기안전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민·관·학·연이 참여하는 “헬기 안전 대책 T/F”를 구성하고 8월 26일 1차 운영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3년 이후 현재까지 발생한 민간헬기 사고는 총 12건이었고 이 중 8건이 사망사고(총 10명 사망)였다. 사망사고는 주로 산불진화나 화물인양 작업 중 발생하고 있다.

* 민간헬기 사고현황 : ‘13년 3건 → ’16년 3건 → ‘17년 3건 → ’20년 1건 → ‘21년 1건 → ’22.1~7월 1건
** 민간헬기 등록대수 : 총 102대(‘22.7.31 기준)


이번에 발족한 T/F는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헬기 사용사업체, 지방항공청, 산림청, 소방청, 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항공안전기술원, 법률전문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T/F를 통해 헬기 사망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종합 안전 대책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례회의를 통해 제도정비, 관행개선, 업계지원 등 구체적인 개선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안전사고가 주로 산불진화와 화물인양 중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조종사 훈련요건과 자격제도를 이런 특수임무 대처능력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는 방안을 중점 검토하고, 매출 구조가 지자체와의 입찰 계약에 주로 의존하는 현실을 반영해 입찰제도 상의 안전성 평가항목을 강화하는 한편, 무사고 업체에 대한 제도적 인센티브 부여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민간헬기와 국가기관헬기 간 조종사 모의비행훈련장치 공동활용 방안을 포함해서, 헬기와 관련된 국가기관 간* 범 정부 통합 안전관리시스템 구축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 국토부(민간헬기 안전관리), 산림·소방청(국가기관 헬기 안전관리), 조달청 (국가계약), 지자체(임차헬기 이용자) 등


국토교통부 하동수 항공정책실장은 “그간 여러 차례의 사망사고에도 불구하고 근본적 안전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이번 T/F를 통해서 안전이 담보된 헬기 산업이 확보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82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