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국토 17% 도시지역에 우리국민 92% 몰려 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93회 작성일 19-06-24 17:24

본문

btn_textview.gif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 4759만 6436명이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리나라 국민의 92%가 전체 국토 면적의 17%에 불과한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표한 ‘2018년 도시계획 현황 통계’에 따르면 국토계획법에 따라 용도지역으로 지정된 국토 면적은 모두 10만 6286㎢로 조사됐다.

‘용도지역’은 토지를 경제적·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관리계획에 맞춰 중복되지 않게 용도를 결정한 지역으로 도시·관리·농림·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뉜다.

전체 국토 면적에서 각 용도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도시지역 16.7% ▲관리지역 25.6% ▲농림지역 46.5% ▲자연환경보전지역 11.2%였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15.1%), 상업(1.9%), 공업(6.7%), 녹지(71%), 미지정(5.3%) 지역 등으로 세분된다.

용도지역을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도시(0.9%), 관리(0.2%) 지역은 소폭 늘었으나 자연환경보전지역은 1년 새 0.2%(24.4㎢) 줄었다. 도시지역 가운데 주거(0.5%), 상업(1.1%), 공업(1.4%) 지역도 조금씩 증가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2017년보다 5만 3475명 증가한 4759만 643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의 91.84%에 해당한다.

지난해 모두 30만 5214의 개발행위가 허가됐고 ‘건축물 건축’이 가장 많은 61.2%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7만 9254건(면적 40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경북(3만 1085건·363㎢)과 전남(2만 8567건·244㎢) 순이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화성시(1만 7859건·44.4㎢), 인천 강화군(5657건·10.5㎢), 충북 청주시(5523건·28.5㎢), 경기 양평군(5518건·5.9㎢)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도시·군 관리계획에 따라 모두 7127.3㎢의 땅이 ‘도시·군 계획시설’로 지정됐다. 도시·군 계획시설 가운데 집행된 면적은 84.4%(6012.6㎢)였고 미집행 시설 중에서는 공원(446.7㎢)이 가장 많았다.

통계 상세 자료는 인터넷 도시계획정보서비스(www.upis.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www.kosis.kr), 통계누리(stat.molit.go.kr) 및 e-나라지표(www.index.go.kr)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국토교통부 도시정책과 044-201-372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66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5966 320 06-21
5965 420 06-23
5964 289 06-23
5963 312 06-23
5962 294 06-23
5961 372 06-24
5960 378 06-24
5959 517 06-24
5958 416 06-24
5957 607 06-24
5956 417 06-24
5955 439 06-24
열람중 294 06-24
5953 421 06-24
5952 430 06-25
5951 322 06-25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