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항공승무원 우주방사선 피폭량 기준 강화…연간 50mSv→6mSv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66회 작성일 21-05-24 15:13

본문

btn_textview.gif

우주방사선으로부터 항공 승무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관리 기준이 대폭 강화된다.

국토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개정 ‘승무원에 대한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규정’을 24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항공승무원들이 비행기 기내에서 다양한 기내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는 모습.(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주방사선이란 태양 또는 우주에서 발생해 지구로 들어오는 방사선을 말하며 항공기가 북극 항공로(미국·캐나다→한국)를 이용하거나 높은 고도로 운항할 경우 우주방사선 노출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로운 규정은 항공기 운항 중 우주방사선에 노출 가능성이 있는 항공승무원의 피폭방사선량 안전기준을 기존 연간 50mSv(5년간 100mSv)에서 ‘연간 6mSv’로 낮췄다.

개인별 자료 보관기관도 기존 5년에서 항공승무원 퇴직 후 30년 또는 75세까지로 연장한다.

특히, 임신한 승무원의 경우 임신 인지일로부터 출산할 때까지 피폭량 한도를 연간 2mSv 이하에서 1mSv 이하로 낮춘다.

이번에 시행되는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기준에 따라 항공승무원은 매달 회사에서 제공하는 피폭방사선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개인별 자료 보관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항공승무원이 재직 또는 퇴직 후에도 피폭방사선량 자료 취득이 가능해져 본인의 건강관리와 질병 원인의 규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항공사는 소속 항공승무원의 피폭방사선량이 6mSv(임신한 승무원은 1mSv)에 근접할 경우 운항노선 변경 및 탑승횟수 조정 등의 안전조치를 취하는 등 보다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

아울러 항공사는 자료를 30년 이상 보관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 개선 및 용량 증대 등의 후속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우주방사선 안전관리 기준 개선이 항공승무원의 안전한 비행을 위한 환경조성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해 필요한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항공운항과 044-201-4786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257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2910 378 01-28
2909 378 01-31
2908 378 02-11
2907 378 02-14
2906 378 04-05
2905 378 04-23
2904 378 07-11
2903 378 08-29
2902 378 09-25
2901 378 09-29
2900 378 12-25
2899 378 12-27
2898 378 12-27
2897 378 01-21
2896 378 03-03
2895 378 04-05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