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차세대 항공데이터 공유방안 찾는다…24일 워크숍 개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75회 작성일 19-04-24 06:00

본문

btn_textview.gif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한국공항공사(사장 손창완)와 함께 4월 24일 김포공항(한국공항공사 스카이홀)에서 “글로벌 항공정보종합관리망(SWIM*) 워크숍”을 개최한다.
* 현재 개별적으로 접속 중인 항공정보, 항공기상, 비행계획 및 실시간 항적 등 각종 항공 데이터를 통합하여 편리하게 제공해 주는 차세대 항공정보교환 인프라(기반시설)

국토부는 전국의 항공정보 사용자들을 한 자리에 모아 차세대 항공데이터교환시스템인 SWIM 개발 현황 및 향후계획을 공유하고, 김포공항에 설치한 전용시험장(테스트베드) 시연을 통해 UI 및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이러한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워크숍에는 전국의 관제기관·항공정보기관, 국방부, 항공기상청, 공항운영자 및 항공사 등 관련기관(업체)의 항공정보업무 관계자 100여 명 이상이 참석한다.

한국공항공사(항공연구소)는 SWIM의 도입배경, 적용 전·후 항공정보환경변화, 국내외 추진현황 및 국내 시스템 구축범위 등 운영방안에 대하여 발표한다.

SWIM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미래항공시스템전환계획(ASBU*)」의 핵심과제로써 전 회원국이 개발 및 구축에 동참하고 있다.
* ASBU(Aviation System Block Upgrades) : 4개 개선영역(공항, 공역, 정보, 운항)에 21개 개선과제(51개모듈) 제시, ‘13년부터 6년단위 4단계(Block0~3) 계획

우리나라도 ‘16년부터 선도적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 해에는 전용 시험장 운영 및 한·중·일 3국간 상호 정보교환 테스트를 진행하고, ’20년까지 SWIM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한, ’17년부터 아시아·태평양지역 SWIM 전담조직(TF)*에 참여하여 기술기준, 정보교환모델 개발 등 핵심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며, 오는 5월 태국에서 개최되는 TF회의에서 정보교환모델 개발완료 및 한·중·일 3국간 상호 정보교환 테스트 결과 등 그간 추진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 한국, 일본, 중국, 미국, 홍콩, 싱가포르, 호주 등 아태지역 17개국 참여 중

김용석 국토교통부 공항항행정책관은 “SWIM은 앞으로 전 세계를 연결하는 고속항공통신망을 통해 각 국가의 모든 항공정보를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될 것”이라며, “SWIM 개발이 완료되고 실용화되면 항공안전 및 효율성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255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2942 377 10-06
2941 377 10-17
2940 377 10-28
2939 377 11-07
2938 377 11-09
2937 377 11-22
2936 377 12-01
2935 377 12-02
2934 377 12-09
2933 377 12-19
2932 377 12-25
2931 377 12-28
2930 377 01-13
2929 377 01-18
2928 377 01-30
2927 377 02-05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