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디지털 트윈’ 최신 기술 한 자리에…‘스마트국토엑스포’ 열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16회 작성일 21-07-20 14:29

본문

btn_textview.gif

‘디지털 트윈’과 관련한 최신 기술이 한자리에 모이는 공간정보 분야 국내 최대 행사인 ‘2021 스마트국토엑스포’가 열린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또 하나의 대한민국, 디지털 트윈국토가 미래를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한 ‘2021 스마트국토엑스포가’ 온라인으로 개최된다고 20일 밝혔다.

‘2021 스마트국토엑스포가’ 누리집 메인화면.‘2021 스마트국토엑스포’ 누리집 메인화면.

올해로 13회를 맞는 스마트국토엑스포는 ‘디지털 트윈국토’로 대표되는 공간정보 분야의 최신기술을 한 자리에 모아 소개하고 비즈니스 기회 등을 제공하는 공간정보 분야 소통·교류의 장이다.

엑스포 관람객들은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전시관에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전시부스를 체험할 수 있다.

메타버스는 가공·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한다.

온라인으로 실시간 중계되는 개막행사에는 세계적 로봇공학자인 데니스 홍(UCLA 기계공학과 교수)이 기조 강연에 나서 모빌리티 로봇 ‘알프레드 2’의 개발과정을 설명하는 등 공간정보 융·복합 최신기술과 공간정보가 만들어갈 새로운 미래 전망을 소개한다.

또 영화 유튜버 ‘라이너’와 과학 유튜버 ‘안될과학’이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속에 등장하는 공간정보 관련 첨단기술을 일반 국민의 시각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무비 토크쇼도 실시간으로 진행한다.

디지털 트윈국토의 개념과 사업현황, 실증모델을 소개하는 디지털 트윈국토 테마관을 중심으로 디지털 트윈의 구축에서 활용(안전·생활 편의 등)까지 전 주기에 걸친 각종 기술·제품 등을 관람객의 ‘아바타’가 온라인에서 직접 살펴보고 이용해볼 수 있는 전시 행사도 열린다. 

자율주행지도를 구축하는 라이다(LiDAR), 빅데이터를 활용한 부동산 입지분석, 드론 비행운영시스템 등 공간정보 분야의 최신기술이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는 가이아쓰리디, 다비오, 올포랜드 등 국내 공간정보 기업은 물론 블루마블(Blue Marble, 미국), 벡셀(Vexcel, 오스트리아) 등 해외 공간정보 기업까지 약 70여개 기업이 행사에 참가한다.

이와 함께 공간정보의 최신 기술동향과 정책방향 등을 조명하는 컨퍼런스에서는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기반 산업으로서 공간정보의 역할을 논의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또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국토정보공사의 공간정보 사업계획을 온라인으로 소개해 민간의 사업 참여를 유도하고 해외기관의 사업동향 및 최신 트렌드를 공유, 국내기업의 사업기회를 창출하는 글로벌 쇼케이스도 개최한다.

전시에 참가하는 국내외 기관은 온라인 회의 시스템(채팅·동시통역 등 지원)을 통해 해외 바이어와 실시간 비즈니스 미팅의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행사 종료 후에도 온라인 비즈니스 미팅룸은 지속 운영된다.

공간정보 산업동향·최신기술 등을 소개하는 컨퍼런스·쇼케이스 등은 행사 누리집(www.smartgeoexpo.kr)뿐 아니라 유튜브(SmartGEOExpo)를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다.

남영우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올해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안전하면서 접근성 높은 행사운영이 가능하도록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전시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등 대비해 왔다”며 “이번 엑스포를 통해 디지털뉴딜 정책의 핵심인 공간정보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한 자리에서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말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공간정보진흥과 044-201-347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186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4046 388 07-22
4045 247 07-22
4044 380 07-22
4043 409 07-22
4042 373 07-21
4041 361 07-21
4040 447 07-21
4039 397 07-21
4038 390 07-21
4037 281 07-21
4036 357 07-21
4035 379 07-20
4034 330 07-20
4033 459 07-20
열람중 317 07-20
4031 362 07-20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