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설명] 실거래가격만으로 주택가격 변동을 판단하는 것은현 시장 상황을 과잉 해석할 우려가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72회 작성일 19-12-11 13:21

본문

btn_textview.gif

< 보도내용(조선일보 등, ’19.12.11(수) >
文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40% 급등
- 불구 서울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올라 정부 정책은 큰 효과 없음
- 규제가 나오면 잠시 주춤한 뒤 다시 집값이 오르는 ‘규제의 역설’

現 정부(’17.5~’19.11)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은 10.01%(아파트 12.36%)입니다.

이전 정부의 규제 완화 및 주택 경기 부양책 영향, 저금리 기조 하의 풍부한 유동성 지속 등 상승 압력이 상존하는어려운 상황에서도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최근 서울 주택가격*은 예년에 비해 상승폭이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 주택 종합(%) : (’15) 4.60 (’16) 2.14 (’17) 3.64 (’18) 6.22 (’19.1∼11) 0.38아파트(%) : (’15) 6.71 (’16) 3.25 (’17) 4.69 (’18) 8.03 (’19.1∼11) -0.13

한편, 최근처럼 예년 대비 거래량이 많지 않고, 일부 고가주택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거래가격만을 근거로 시장 상황을 해석할 경우, 실제 시장 상황을 과잉 해석하게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전반적인 시장 상황 및 가격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거래가 많은 단지 뿐 아니라 거래가 적은 단지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근거로 시장 상황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249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3038 439 12-12
3037 431 12-12
3036 628 12-12
3035 414 12-12
3034 522 12-12
3033 709 12-11
3032 601 12-11
3031 477 12-11
3030 449 12-11
3029 382 12-11
열람중 473 12-11
3027 410 12-11
3026 437 12-11
3025 424 12-11
3024 405 12-11
3023 436 12-11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