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이어도, 과거 화산폭발로 생겨났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83회 작성일 20-04-28 11:39

본문

btn_textview.gif

이어도, 과거 화산폭발로 생겨났다
- 국립해양조사원, 이어도 주변해역 조사를 통해 화산기원 증거 발견 -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원장 홍래형)이 지난해 이어도* 주변해역의 해저 퇴적물 조사에서 발견된 암석조각(45×35×10cm)을 분석한 결과, 이어도가 과거 화산폭발로 생겨난 화산체임이 밝혀졌다.
 
  * 우리나라 최남단 마라도에서 남서쪽으로 149km 떨어져 있으며, 이어도 해양과학기지가 위치
 
  수심 약 56m에서 채취된 이 암석조각은 화산분출물이 쌓여서 굳어진 응회암으로, 층리구조와 조개류가 서식한 흔적으로 추정되는 다수의 구멍들(borings)을 가지고 있었다.
 
  응회암에 나타난 층리구조는 화산이 분출될 때 화산재 등이 쌓여서  만들어진 퇴적층으로, 이어도가 화산기원 암석층임을 보여주는 증거다. 또한, 암석 표면에 있는 직경 10mm 내외의 구멍*들과 그 구멍을 만든 조개류 껍데기, 산호초는 화산체 일부가 파식대지**임을 보여준다.
 
   * 조개류(이매패류) 등이 몸을 숨기거나 거주하기 위해 암석을 뚫어 만든 구조
 
  ** 파도에 의한 침식작용 등으로 해안가에 생긴 평탄한 지형. 충남 태안군 꽃지해수욕장 아래 둔두리 파식대지에는 작은 구멍과 그 속에 서식하고 있는 조개류를 볼 수 있음.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이어도가 과거 해수면이 낮아졌던 시기에 대기에 노출되었다가, 다시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해저 화산체로 남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국립해양조사원과 한국해양대학교 장태수 교수 연구팀이 함께 수행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채취한 응회암은 현재 국립해양조사원 별관에 전시되고 있다.
 
  이은일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장은 “이번 연구에 이어, 앞으로는 이어도와 제주도 간 지질학적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78 페이지
해양수산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2925 257 04-27
열람중 184 04-28
2923 162 04-28
2922 252 04-28
2921 165 04-28
2920 269 04-28
2919 224 04-28
2918 264 04-28
2917 258 04-28
2916 666 04-29
2915 262 05-01
2914 196 05-01
2913 269 05-01
2912 266 05-01
2911 316 05-01
2910 265 05-01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