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인익스프레시블섬, 펭귄마을에 이어 보호구역 지정 > 해양수산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양수산부

남극 인익스프레시블섬, 펭귄마을에 이어 보호구역 지정

작성일 21-06-25 00:00

본문

btn_textview.gif

남극 인익스프레시블섬, 펭귄마을에 이어 보호구역 지정

- 제43차 남극조약 당사국회의(6월 14~24일)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인익스프레시블섬’을 남극특별보호구역으로 승인 -
- 우리나라의 남극보호 지평 확대 및 남극활동 여건 신장 기대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와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6월 14일부터 24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온라인 비대면회의로 열린 제43차 남극조약 협의 당사국회의(이하 남극회의)에서 한국, 중국, 이탈리아가 공동으로 제안한 ‘인익스프레시블섬*’이 남극특별보호구역으로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 보호구역 공식 명칭: Inexpressible Island and Seaview Bay, Ross Sea

   ※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 남극 지역의 평화적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남극조약 가입국 (54개국)이 참여하는 연례회의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남극에 보호구역을 지정한 것은 2009년 세종기지 인근의 ‘나레브스키 포인트(일명 펭귄마을)’에 이어 ‘인익스프레시블섬’이 두 번째다.

 

  ‘인익스프레시블섬’은  펭귄마을에 비해 면적이 3.4배(0.98㎢ : 3.31㎢) 넓고, 번식하는 펭귄의 둥지수*도 6.4배(4,800 : 30,000)가 많다. 환경변화 관찰 지표종인 아델리펭귄과 표범·웨델물범의 서식지이지만, 최근 관광·연구 등이 늘어나면서 한국·중국·이탈리아가 공동으로 2019년 남극회의에서 보호구역 지정을 처음 제안했다.

    * 둥지수가 30,000개라는 것은 부모와 새끼(보통 둥지당 2개의 알을 낳음)를 포함하면 약 12만 마리의 펭귄이 분포한다는 의미

 

  남극특별보호구역은 남극의 환경적, 자연적, 과학적 또는 미학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조약의 협의당사국들이 남극의 특정 지역에 대해 보호구역 지정을 제안하면 협의당사국회의에서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196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미국, 프랑스, 일본 등 16개국은 총 72곳의 남극특별보호구역을 지정했으며, 보호구역 지정을 제안했던 국가가 중심이 되어 생태계 조사, 환경관리 및 출입자 통제 등을 위한 관리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가 지정한 ‘펭귄마을’은 현재 환경부와 극지연구소가 협력하여 매년 생태계 관측(모니터링)과 폐기물 수거 등의 보호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주요 결과는 협의당사국회의 및 학술지 등을 통해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있다.

 

  한편, ‘인익스프레시블섬’이 위치한 남극 로스해는 전 세계 아델리펭귄의 38%, 황제펭귄의 26%가 서식하는 세계 최대의 해양보호구역으로, 해양수산부는 지구온난화와 무분별한 수산자원 남획으로부터 남극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로스해의 해양 생태계와 아델리펭귄 번식 관측(모니터링) 등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남극해 해양보호구역의 생태계 구조 및 기능 연구: 로스해 해양보호구역 생태계 및 환경변화 파악, 아델리펭귄 개체군 생태 연구 등 / ‘17~’21 / 극지연구소 수행

 

  구도형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남극 과학 기지와 아라온호를 발판으로 남극 환경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 왔다.”라며,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인익스프레시블 섬’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 등 책임 있는 남극활동 국가로서 의무를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유호 환경부 자연생태정책과장은 “올해 5월 말 열린 '2021 피포지(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와 함께 이번 ‘인익스프레시블섬’의 보호구역 지정은 국제 사회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적 기여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공동제안 3국과 협력하여 ‘인익스프레시블섬’의 보호와 관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 피포지(P4G,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는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를 의미하며, 전 세계 공공·민간 기관의 협력 확대를 통해 녹색성장과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가속화를 위한 다자협력 소통창구(네트워크)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157건 75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Hiddencar.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