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신수출동력·소비재분야 현장 수출활력 제고 밀착지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23회 작성일 19-05-29 14:33

본문

btn_textview.gif

신수출동력·소비재분야 현장 수출활력 제고 밀착지원
- 범부처 「수출활력촉진단 2.0」5~10월간 40회 집중 가동 -
- 5.30(), 첫 일정으로 화장품 업계 무역금융, 해외인증 애로 집중 해소 -
 
정부는 수출현장에 찾아가무역금융·해외마케팅 등 애로해소해주는범부처 수출활력촉진단 2.0’소비재, 신수출동력, 주력산업,스타트업,강소기업 5개 분야로 특화10월까지 25개 업종 3천여 개 기업을대상으로집중 추진한다.
 
 
< 수출활력촉진단 1.0 (기존) >
 
< 수출활력촉진단 2.0 >
분 야
 
지역별 방문 (15개 시?)
 
5대 분야 특화 현장지원 전문화
참 여
 
산업부·중기부 중심

관계부처 총력 지원 (9개 부처)
횟 수
 
단기 지원 (1~3월간 15)
 
심층 지원 (5~10월간 40여회 이상)
 
정부는 범정부 수출총력 지원체계의 일환으로 지난 1~3월간 1수출활력촉진단을 가동하여, 전국 15개 시?에서 2천여 개 수출기업현장애로를 밀착 지원하고 핵심애로를 수출대책에 반영해 해소한 바 있다.
 
< 1차 수출활력 촉진단(1.31~3.29) 주요 수출애로 및 조치내용>
분 야
주요 건의 및 조치내용
마케팅
·(건의) 해외 전시회·무역사절단 효율화 및 지원 강화,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지원, 수출바우처·지사화 사업 지원 확대 등
수출활력제고대책(3.4), 해외마케팅지원강화(4.10) 등을 통해 전시회, 글로벌파트너링, 지사화 등 강화방안 마련
전시회·수출바우처 등 해외마케팅 추경 반영(343억원)
금 융
·(건의) 시제품 생산·신시장 진출 등 수출 준비단계 및 이행보증·선수금
환급보증 등 수출이행에 필요한 금융지원 요청
수출활력제고대책(3.4)을 통해 수출단계별 지원프로그램 신설·확대,
무보·중진공 등 신속 심사·지원, 무역금융 확대 추경 반영(2,640억원)
기 타
·(건의) 신산업 인허가 원스톱 지원, 중소기업 특허 관리·지원 마련 등
⇒ 「규제샌드박스」활용 인허가·실증 지원, 특허공제사업 신설 추진 등
 
 
이어, 최근 ·중 무역분쟁 장기화등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됨에따라 현장의 수출애로 해소수출활력 회복이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1진단의 규모·방식·기간 등을 보강해 수출활력촉진단 2.0을 가동한다.
 
< 수출활력촉진단 2.0 추진 주요방향 >
 
 
 
 
 
 
 
특화 대상
 
 
소비재
 
②신수출 성장동력
 
③주력산업
 
④스타트업
 
⑤강소기업
 
 
 
 
[ 업종별 ]
 
[ 기업특성별 ]
 
 
 
 
 
 
 
 
 
 
 
 
 
 
 
 
 
 
 
 
 
 
 
중점 애로 해소 분야
 
 
산업육성
 
수출지원
 
 
통상현안
 
인증 등
규제 해소
 
 
 
 
 
 
 
 
 
 
 
 
 
 
 
 
 
 
 
 
 
 
 
 
 
추진 방식
 
 
(간담회) 협단체 중심 간담회 업종내 공통애로 해소
 
(상담회) 기업별 1:1 상담회 개별기업 맞춤형 애로 해소
 
 
(사후지원) 수출활력상황실 통합 관리 후속 밀착 지원
 
 
특히,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빠르게 수출이 증가하며 핵심 수출동력으로 성장하고 있는 소비재·신수출성장동력주력품목 중활력 회복이 시급한 품목을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 수출성장동력 최근 수출동향>
 
어려운 여건에서도 신수출성장동력 수출은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
 
    * 신수출동력 :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화장품, 농수산·식품, 전기차, OLED, 플라스틱제품 등
 
이차전지·바이오헬스·전기차 등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91~4월 전년동기 대비
    8.4% 증가한 199억 달러 기록
 
특히, 화장품, 농수산식품 등 소비재 수출이 2월 이후 빠른 성장세

 
5개 분야별 주요 추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소비재) 1:1 상담회와 함께,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입점 지원, 전문무역상사활용등 소비재 분야해외진출 설명회를 연계해 추진한다.
화장품(5), 패션의류(6), 쥬얼리(6), 신발(7), 안경(7)
 
(신수출동력) 무역금융·해외마케팅등 지원과 함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육성·R&D·인증·규제개선등을 종합 상담한다.
(산업부) 항공(6), 로봇(6), 이차전지·전기차(7) (농림부) 농식품(7) (해수부) 수산식품(7) (국토부) 플랜트·해외건설(6) (문체부) 문화·콘텐츠(6~7월간 5) (복지부) 제약(6), 의료서비스(7)
 
(주력산업) 글로벌 밸류체인 변화, 통상분쟁 대응, 산업 고도화 등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전문 상담회를 개최한다.
반도체(7), 석유제품(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96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