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친환경 선박 추진기관 테스트, 여기에서 한 번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38회 작성일 21-04-28 00:00

본문

btn_textview.gif

친환경 선박 추진기관 테스트, 여기에서 한 번에

- 2025년까지 만능 테스트 플랫폼 개발로 친환경선박 기술개발 여건 개선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동참하고 친환경 선박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전기·수소 등 다양한 선박추진기관을 한 선박에서 탈착하며 시험·실증할 수 있는 만능 테스트 플랫폼을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와 EU의 배출권거래제(EU-ETS) 시행(예정)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 조선·해운시장이 기존 유류선박에서 친환경 선박 체계로 패러다임이 전환 중이며, 우리 정부도 해양환경 규제 및 친환경 선박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20.1.)한 데 이어, 지난해 12‘2030 한국형 친환경선박(Greenshp-K) 추진전략발표하고 그 일환으로 2025년까지 5년간 총 364억 원을 투입해 친환경 선박 테스트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게 되었다.

 

  통상 전기·수소 등 친환경 선박 추진기관을 개발하면 추진기관별로 실증선박을 건조해야 하나, 앞으로 개발될 만능 테스트 플랫폼을 이용하면 하나의 실증선박만 건조해도 되기 때문에 추진기관별 실증선박 건조 비용(척당 100~300억 원 수준) 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를 위해 지난 423일 주관 연구기관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소장 김부기)와 한국기계연구원을 선정하였으며, 8개 민간기업·대학*과 한국선급(KR), 전라남도와 목포시도 공동 연구기관과 투자자로서 참여한다.

 

  * 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 KTE, 산엔지니어링, 극동선박설계, 리영에스엔디, 올포랜드, 군산대학교

 

연구기관들은 올해 5월 초 사업에 본격 착수한 뒤, 2025년까지 친환경 만능 테스트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실증 기술개발과 LNG보다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더 높은 선박용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엔진 기술개발 등을 추진하게 된다.

 

  * LNG 선박은 최대 30%의 온실가스 저감효과가 있으나, LNG와 무탄소 연료(암모니아 등)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최대 50%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발생

 

  아울러, 사업기간 동안 목포 남항 재개발 부지에 연면적 5,000규모의 시험·연구동도 건설할 계획이다. 2025년 사업이 종료되면, 친환경 선박 기업과 연구기관 등이 저렴한 비용으로 해당 시설에서 기술을 검증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도형 해양수산부 해양개발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기업 등의 친환경 선박 관련 기술 개발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사업 착수부터 완공까지 차질없이 추진하여 국내 친환경 선박기술개발이 활성화되고 탄소중립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4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