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경북 포항에도 한국판 뉴딜의 D·N·A가 담긴 양식업이 온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05회 작성일 21-04-27 00:00

본문

btn_textview.gif

경북 포항에도 한국판 뉴딜의 D·N·A가 담긴 양식업이 온다

-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사업 타당성 평가 통과, 5월에 착수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지난 423일 경북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사업 타당성 평가 결과 보조사업 선정위원회로부터 적격 판정을 받아 5월부터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사업은 한국판 뉴딜의 일환으로, 1차 산업인 양식업에 데이터·네트워크·공지능(Data·Network·AI) 기술을 접하여 디지털산업으로 전환하는 사업이다. 2019년에는 부산(1)과 경남 고성(2), 2020년에는 전남 신안(3)이 각각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현재 양식 클러스터를 조성 중에 있다.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포항 지진의 진상조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한 특별법? 따라 지진피해지역의 조속한 경제 회복을 위해 2021년도 국회심의과정에서 예산이 반영되었으며, 이번에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보조사업 선정위원회의 타당성 평가에서 적격 판정을 음으로써 올해 3월 강원 강릉·양양(4)에 이어 5번째 사업대상지로 선정되었으며, 올해 5월부터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착수할 수 있게 되었다.

 

  클러스터 조성 예정지인 포항시 장기면 일대는 하천(장기천)과 바다에 인접해 있어 양식수로 사용하기 위한 담수와 해수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며, 고속도로(대구-포항 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공항(포항공항 8km), 철도(KTX 포항역 20km, 신경주역 25km) 등 교통 및 물류 기반이 우수하다.

 

  이 사업은 총 400억 원 규모로 4년간 추진될 예정인데, 올해 기본계획 수립을 마치고 내년 초 설계에 착수하여 202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포항 스마트양식 클러스터는 한국형 순환여과식 스마트양식 시스템(K-RAS* Smart system)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더욱 친환경적이다.환여과식 설비는 양식에 사용되는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물 사용량을 줄이고, 배출이 필요한 오수를 정화 후 배출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양식생물 사육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여 통신장치를 통해 인공지능에 전달하고, 인공지능이 상황을 판단하여 각종 제어장치에 명령함으로써 운영되는 첨단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 RAS(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포항시와 민간사업자인 미래아쿠아팜은 한국형 순환여과식 스마트양식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자재의 대부분을 국내기술로 개발된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한국 양식현장에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구현해 낼 계획이며, 국내 기술로 구현이 어려운 기자재의 경우 노르웨이 등 수산 선진국 기술진을 자문단에 포함하여 국산화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이 외에도, 포항공대와 같은 지역 연구 및 인력 기반을 적극 활용하여 클러스터 운영에 사용되는 스마트양식 기자재를 더욱 고도화함으로써 한국형 순환여과식 스마트 양식시스템의 해외 수출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최현호 해양수산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조성업이 차질없이 이행되어 한국형 순환여과식 스마트 양식시스템케이팝(K-POP), 케이뷰티(K-Beauty)같이 세계 양식 기자재 시장에서 주목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4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