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어획실적 보고,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쉽고 빠르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71회 작성일 20-10-12 11:17

본문

btn_textview.gif

어획실적 보고,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쉽고 빠르게!
- 10월 12일 ?연근해어업의 조업상황 등의 보고에 관한 규칙? 개정안 시행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어업인들이 어획실적을 스마트폰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보고할 수 있도록 ?연근해어업의 조업상황 등의 보고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10월 12일(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연근해 어업허가를 받은 어업인들은 어획실적을 수협 어선안전조업본부에 보고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서면이나 무선(음성)을 통해서만 실적을 보고해 왔고 조업일지도 매번 수기로 일일이 작성하여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수산 선진국들이 어업통계 신뢰성 및 어업인 편의를 높이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전자 어획실적 보고체계 도입을 추진함에 따라, 해양수산부도 2016년 11월부터 관련 연구에 착수하였다. 이후 이용자 시험과 시범적용 등을 거쳐 올해 5월 전자어획보고 정보시스템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어업인들이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근해어업의 조업상황 등의 보고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게 되었다.
 
  전자 어획실적 보고기능은 현재 5만 1천여 명의 어업인들이 이용하고 있는 수협중앙회의 ‘조업정보알리미’ 응용프로그램(App)에서 이용할 수 있다. 어업인이 프로그램 내의 ‘위치 및 어획보고’ 메뉴에서 어획량과 조업시간만 입력하면, 위치 등의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된다.
 
  전자 어획실적 보고가 이루어지면 어업인의 편의와 어업통계자료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그간의 어획보고 이력조회도 가능해져 어업인들이 전자 조업일지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총허용어획량(TAC) 기반 어업 규제완화 시범사업’ 대상 152척은 전자 어획보고 시스템을 필수로 적용하고 있으며, 해양수산부는 앞으로도 시범사업과 연계하여 필수 적용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해양수산부와 수협중앙회는 이번 개정사항에 대한 어업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응용프로그램(App) 이용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고령층 등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어업인들을 위해 기존의 서면보고나 무선(음성)보고 방식도 병행할 계획이다.
 
  조일환 해양수산부 어업정책과장은 “내년부터는 폐쇄회로텔레비전(CCTV)과 결합되어 어업인이 별도로 보고할 필요가 없는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자동 어획량 보고 시스템 구축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40 페이지
해양수산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1933 271 03-04
1932 271 03-05
1931 271 03-05
1930 271 03-08
1929 271 03-09
1928 271 03-10
1927 271 03-10
1926 271 03-11
1925 271 03-15
1924 271 03-25
1923 271 03-25
1922 271 03-28
1921 271 03-28
1920 271 03-29
1919 271 03-29
1918 271 03-29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