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더 안정적인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 6월부터 서비스 개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7회 작성일 21-03-31 00:00

본문

btn_textview.gif

더 안정적인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 6월부터 서비스 개시

- 해수부,‘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 상용화 추진계획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331() 열린 16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위성항법시스템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국가 보조 위치?항법?시각(이하 PNT, 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이하 eLoran*) 상용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 (enhanced Long range navigation) 지상 3개소 이상의 송신국에서 발사된 전파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위치를 계산하정밀한 시각정보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PNT 정보는 통신시설, 송전시설, 방송설비, 금융망 등 산업 전반과 마트폰, 내비게이션 등 일상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데, 현재는 미국의 위성항법시스템(GPS)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GPS는 약 2km 떨어진 상공에서 인공위성을 통해 전파를 송출하기 때문에 전파간섭이나 교란에 매우 취약한 한계를 가진다. GPS 전파간섭이나 교란이 발생되면 항공기와 선박이 자신의 위치를 하지 못해 운항이 중단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표준시 정보를 받지 못해 휴대전화 사용이 중지되는 등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 이후 4차례나 GPS 전파교란으로 많은 피해를 었던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2016년부터 위성이 아닌 지상 송신탑을 용하여 안정적으로 PNT 정보제공할 수 있는 첨단 지상파항법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이후 올해 초까지 실증시험과 시스템 안정화, 성능 개선 등의 절차를 거쳐 올해 61일부터 시범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으로, 해양수산부는 eLoran 서비스 개시에 맞추어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번 eLoran 상용화 추진 계획은 기술개발 고도화, 저비용·효율의 인프라 확충, 단계적인 서비스 확대 국제협력 및 신규시장 창출 등 총 4개의 전략을 담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안전 분야에서 eLoran 활용이 확대되도록 장비 소형화기술, 오차보정 고도화, 보안·인증체계 등 추가 기술을 개발하고,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 보조항법 성능기준(위치오차 10m 이하)을 충족하기 위해 2022년까지 eLoran 연계기술(R-Mode*)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NSS), 선박자동식별장치(AIS/VDES) 등의 해양통신용 인프라에 거리측정 신호를 추가해 지상파항법시스템으로 활용하는 신기술

 

  또한, 안정적인 eLoran 운영을 위해 기존 Loran 송신국(포항, 광주) 2개소를 eLoran으로 개량하고 2022년까지 신규 송신국 1개소를 추가로 구축하고, 이후 시범 서비스가 안정화되는 시점에 2개소를 추가하여 안정적인 PNT 정보 제공을 위한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완성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20216월부터 서해 접경수역을 상시 운항하는 해경 함정, 어업지도선, 순찰선 등 관공선에 선적으로 GPS?eLoran통합수신기를 도입하여 eLoran 시범서비스를 개시하여 해양영토 관리를 지원하고, 단계적으로 어선과 상선 등까지 확대해 나간다. 또한, 방송·정보통신 분야와 협업체계를 구축해 정밀한 표준시(시각동기) 정보를 제공하고 금융, 이동통신망 등 타 산업으로 확대하여 GPS 중단 시에도 국가 기반시설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원양항해선박의 안전 항해를 위해 극동전파표지협의회* 통해 중국, 러시아 등과 시스템 연계를 추진하는 한편, 유럽 국가들과 대하여 eLoran과 연계기술(R-Mode)에 관한 국제표준 선정 논의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산장비들이 eLoran 신규시장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공공분야에 장비 시범 도입, 현장적용실적(Track Records) 지원, 성능검증 시험장 확충 및 장비 인증체계 마련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극동전파표지협의회(FERNS)는 전파표지 분야의 차별 없는 서비스와 상호협력을 위해 한··러 정부가 협정을 체결(2000. 12.)하고 매년 이사회를 개최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GPS는 일상생활에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편리한 점이 많지만, 먼 상공에서 수신되기 때문에 전파간섭이나 란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라며, “국민들이 더욱 안정적인 위치·항법·시각(PNT)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eLoran 공동 활용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120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