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3차원 공간정보 담은 정밀도로지도, 민관이 함께 만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32회 작성일 19-04-25 11:00

본문

btn_textview.gif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민관이 협력하여 자율주행차용 정밀도로지도를 효율적으로 구축·갱신하기 위해 협력체계를 구성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업무협약에는 완성차업계, 이동통신업계, 지도제작업계, IT·전자업계의 14개 기업과 관련기관이 참여하며, 26일 오후 2시에 개최될 협약식에서 총 17개 참여기관*이 공동구축체계 관련 협력체계 구성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 기업(14) : 현대자동차, 쌍용자동차, 만도, SKT, KT, LGU+, 현대엠엔소프트, 카카오, 아이나비시스템즈, 나비스오토모티브시스템즈, LG전자, 네이버랩스, 쏘카, 카카오모빌리티관련기관(3)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한국도로공사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교통 규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구축한 3차원 공간정보*로, 자율주행차 센서정보와 정밀도로지도를 결합하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 규제선(차선, 도로경계선, 정지선, 차로중심선), 도로시설(중앙분리대, 터널, 교량, 지하차도), 표지시설(교통안전표지, 노면표시, 신호기) 등 포함

대규모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는 정밀도로지도는 정부가 단독으로 구축하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기술개발 수준과 민간 요구사항에 빠르게 대응하기 어려우며, 민간이 경쟁적으로 구축·갱신하면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관련기업들은 지난해부터 정밀도로지도 민관 공동구축체계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을 논의하여 왔으며, 지난 3월 참여기관 회의를 통해 협력관계를 우선 마련하기로 합의하였다.
※ 일본은 자율주행차용 지도의 공급·관리를 위해 일본정부, 자동차·지도업체 등이 공동출자한 컨소시엄을 출범하여 일본 전국지도 제작 중(자본금 약 210억원, ’16.6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참여기관은 공동구축체계 설립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공동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공동구축체계 세부추진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공동구축 데이터 사양, 구축범위, 갱신방안, 공유시스템 운영방안, 비용분담 등

공동구축 시범사업은 참여기관의 의견을 수렴하고 시범구간을 확정하여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되며, 기업들은 각자 원하는 역할로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구체적인 공동구축체계 추진방안을 함께 논의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손명수 교통물류실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정밀도로지도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나아가 자율주행차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고, “앞으로도 국토교통부는 정밀도로지도를 비롯한 스마트 기반시설(인프라)을 구축하고 안전기준을 마련하여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1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7006 1227 04-16
7005 1308 04-16
7004 1447 04-16
7003 1529 04-14
7002 1354 04-14
7001 727 04-14
7000 812 04-14
6999 534 04-14
6998 772 04-13
6997 638 04-13
6996 701 04-13
6995 507 04-13
6994 578 04-13
6993 656 04-12
6992 512 04-12
6991 523 04-12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