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1분기 항공여객 3,057만 명으로 3천만 명 최초 돌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02회 작성일 19-04-30 11:00

본문

btn_textview.gif

올해 1분기 항공이용객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3,057만 명을 기록하여 단일 분기별 실적으로는 최초로 3천만 명을 돌파했다.

국제선 여행객은 2,301만 명으로 7.1% 증가했고, 국내선 여행객은 756만 명으로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항공여객(만 명): 2,169(’15. 1Q) → 2,437(’16. 1Q) → 2,683(’17. 1Q) → 2,873(’18. 1Q) → 3,057(’19. 1Q)
** 단일 분기별(만 명): 3,057(’19. 1Q)→ 2,991(’18. 3Q)→ 2,954(’18. 4Q)→ 2,934(’18. 2Q)→ 2,873(’18. 1Q)
*** 항공화물(만 톤): 95(’15. 1Q) → 95(’16. 1Q) → 105(’17. 1Q) → 108(’18. 1Q) → 104(’19. 1Q)

국제선 여객은 최근 일과 삶의 조화(워라밸) 가치관 확산, 계절적 요인(겨울방학 및 설 연휴), 저비용항공사 공급석 확대(19.4%), 노선 다변화,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7.1% 성장한 2,301만 명으로 집계됐다.
* 국제여객(만 명): 1,555(’15. 1Q) → 1,760(’16. 1Q) → 1,956(’17. 1Q) → 2,149(’18. 1Q) → 2,301(’19. 1Q)

지역별로는 중국·유럽·동남아·일본 노선에서 증가세를 보인 반면, 대양주·미주·기타지역 노선은 미미한 감소세를 보였다.
* 지역별 증감율: 중국(14.4%), 유럽(11.1%), 동남아(7.9%), 일본(4.1%), 대양주(-4.5%), 미주(-1%), 기타(-1.1%)

특히 중국노선은 414만 명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고, ’16년 1분기(440만 명)**에 비해서 격차(-5.9%)가 줄어들어 지속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18.1분기) -12.8% → (2분기) 39.2% → (3분기) 25.2% → (4분기) 20.4% → (’19.1분기) 14.4%
** 중국노선 여객추이(만 명): (‘16.1분기) 440 → (’17.1분기) 415 → (‘18.1분기) 362 → (‘19.1분기) 414

공항별로는 노선 다변화 및 중국여객 증가로 인천(4.6%), 김해(3.3%), 김포(1.4%) 공항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무안(182.6%)·청주(166.9%)·제주(55.6%)·대구(49.4%) 등 지방공항에서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는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했으나, 국적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했다.

전체 여객 대비 국적사 점유율은 68.8%를 나타냈으며, 이중 LCC 분담율은 전년 29.5%에서 올해 1분기 32.2%로 증가세에 있다.
* 국적사 분담률(%): 62.4(’15. 1Q) → 65.3(’16. 1Q) → 66.6(’17. 1Q) → 69.2(’18. 1Q) → 68.8(’19. 1Q)LCC 분담률(%): 13.2(’15.1Q) → 18.1(’16.1Q) → 24.6(’17.1Q) → 29.5(’18.1Q) → 32.2(’19.1Q)

국내선 여객은 운항 증편 및 공급석 증가, 외국인의 제주여행 환승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내륙 0.9%↑, 제주 5%↑) 증가한 756만 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여객(만 명): 614(’15. 1Q) → 677(’16. 1Q) → 728(’17. 1Q) → 724(’18. 1Q) → 756(’19. 1Q)

공항별로는 울산(-8.6%)을 제외한 제주(5.2%)·김포(3.7%)·청주(12.5%)·대구(5.2%) 등 전국 공항이 증가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가 316만 명을 운송하여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하였고,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440만 명을 운송했다.
* LCC 분담률: 53.2('15. 1Q) → 56.7('16. 1Q) → 57.5('17. 1Q) → 59('18. 1Q) → 58.2('19. 1Q)

한편, 올해 1분기 항공화물(104만 톤)은 글로벌 경기 둔화 움직임과 동남아를 제외한 일본·중국·유럽 등 전 지역의 물동량 감소(IT/반도체, 선박 등) 영향 등으로 3.4%(국제화물 3.3%↓) 감소했다.
* 항공화물(만 톤): 95(’15. 1Q) → 95(’16. 1Q) → 105(’17. 1Q) → 108(’18. 1Q) → 104(’19. 1Q)
**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만 톤): 69(’15. 1Q) → 67(’16. 1Q) → 75(’17. 1Q) → 75(’18. 1Q) → 69(’19. 1Q)

국제화물은 동남아(1.4%)를 제외하고 일본(-8.9%)·중국(-5.3%)·유럽(-5.2%) 등 전 지역에서 감소,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98만 톤)했다.
* 국제화물(만 톤): 87(’15. 1Q) → 88(’16. 1Q) → 98(’17. 1Q) → 101(’18. 1Q) → 98(’19. 1Q)
** 수하물 제외 국제화물(만 톤): 65(’15. 1Q) → 63(’16. 1Q) → 71(’17. 1Q) → 71(’18. 1Q) → 66(’19. 1Q)

국내화물은 내륙노선(2.7%)은 증가했으나 제주(-5.6%)노선은 감소하여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7만 톤을 기록했다.
* 국내화물(만 톤): 7.5(’15. 1Q) → 7.4(’16. 1Q) → 7.4(’17. 1Q) → 6.9(’18. 1Q) → 6.6(’19. 1Q)
** 수하물 제외 국내화물(만 톤): 4.3(’15. 1Q) → 4(’16. 1Q) → 3.9(’17. 1Q) → 3.5(’18. 1Q) → 3.1(’19. 1Q)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최근 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할증료 부담 등의 영향은 있으나 항공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히면서, “항공노선 다변화 및 지방공항 활성화 등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50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6222 409 04-29
6221 408 04-29
6220 379 04-30
6219 427 04-30
6218 460 04-30
열람중 403 04-30
6216 409 04-30
6215 2938 04-30
6214 349 04-30
6213 415 04-30
6212 412 05-01
6211 464 05-01
6210 459 05-01
6209 370 05-02
6208 585 05-02
6207 406 05-02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