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한국판 뉴딜’로 국가하천 관리 디지털화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42회 작성일 20-07-28 17:16

본문

btn_textview.gif

국토교통부는 2022년까지 국가하천 분야 한국판 뉴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국가하천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과 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수재해 예방과 하천관리를 효율화할 방침이다.

국가하천 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은 2022년까지 국가하천의 모든 배수시설(3580개소)에 대한 구축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는 국가하천 배수시설(수문·통문)을 하천 수위에 따라 자동제어 할 수 있도록 전국 73개 국가하천 3580개소에 자동 수위계, 자동 개폐기, 통신망, 영상장치 등을 설치하는 등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지자체 상황실에서도 원격으로 관리·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동안 배수시설 운영은 민간 수문관리인이 현장에서 육안으로 하천 수위를 보고 배수시설을 임의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신속 대응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농경지·가옥 등 수많은 침수 피해가 있었다.

국가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국가하천 전 구간(3600km)의 구축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 체계는 전국 73개 국가하천 3600km 양쪽 제방에 약 2km 간격으로 하천관리용 CCTV를 설치하고 지방국토관리청 상황실에서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실시간 하천상황을 파악하고 데이터화로 하천을 원격 관리·감독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동안 하천 관리는 현장을 직접 방문함에 따라 대응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비경제적인 요소가 있었고 실시간 현장 확인과 데이터화를 할 수 없어 수재해 및 민원(불법 투기·점용 등), 하천시설 관리에 적기 대응이 어려웠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148개 지자체와 5개 지방국토관리청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규모 예산을 단기간에 투입, 추진하는 것으로 지역 업체의 참여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김보현 국토부 하천계획과장은 “이번 하천분야 한국판 뉴딜사업은 국가하천관리체계를 스마트한 관리체계로 전환하는 첫 걸음”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술을 검토해 국가하천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문의: 국토교통부 하천계획과 044-201-3642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006건 365 페이지
국토교통부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1182 356 08-30
1181 356 03-03
1180 356 04-13
1179 356 04-29
1178 356 06-08
1177 356 06-29
1176 356 06-29
1175 356 07-09
1174 356 11-17
1173 356 02-25
1172 356 11-26
1171 356 11-30
1170 355 04-24
1169 355 05-15
1168 355 06-24
1167 355 07-10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