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해적사고는 19% 줄었지만 납치 피해는 82% 증가 > 해양수산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양수산부

올해 1분기 해적사고는 19% 줄었지만 납치 피해는 82% 증가

작성일 21-05-06 00:00

본문

btn_textview.gif

올해 1분기 해적사고는 19% 줄었지만 납치 피해는 82% 증가

- 해수부, 20211분기 전 세계 해적사고 발생동향 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올해 1분기 전 세계 주요 해역별 해적사고 동향을 분석하여 6() 발표하였다.

 

  20211분기 해적사고는 전년 같은 기간(47)에 비해 약 19% 감소한 38건이 발생하였으나, 피랍 선원은 4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2)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적사고 발생건수가 줄어든 것은 최근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지역에서의 해적사고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선원 납치 피해 증가는 서아프리카에서의 피 사례*가 큰 폭으로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선원 납치는 모두 서아프리카에서 발생(베냉 15, 가봉 10, 상투메 프린시페 15)

 

[연도별 1분기 해적사고 발생 건수 (20172021)]

(단위 : )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전 세계

연간

해적공격

180

201

162

195

-

선박피랍

6

6

4

4

-

1분기

해적공격

43

66

38

47

38

선박피랍

2

4

0

0

1

소말리아

해적공격

2

2

0

0

1

서아프리카

10

30

22

21

16

아시아

24

22

8

19

10

기타

7

12

8

7

11


  주요 해역별로 살펴보면, 서아프리카 해역에서의 해적사고 건수는 16건으로 전년 (21) 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나, 1분기 전체 선원납치 사고 3건이 전부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발생하고, 총기사고의 약 91%(10/11)도 발생하는 등 중대피해 사례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해역에서는 연안국들의 순찰활동 강화 및 아시아해적퇴치협정(ReCAAP)*에 따른 회원국의 노력으로 전년 동기(19) 대비 약 47% 감소한 10건이 발생하였다.

 

   * 아시아해적퇴치협정(ReCAAP) : 우리나라, 중국, 일본, 아세안 8개국 등 총 20개국이 참여하여 아시아 지역 해적 정보공유 및 해적퇴치 전략 공동수행

 

  다만, 우리나라 선박들의 주요 통항로인 싱가포르 해협에서의 해적사고는 전년 동기(5)와 비슷한 수준(6)으로 발생하여 이 해역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철저한 주의가 꾸준히 요구된다.

 

  최근 2년간 해적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던 소말리아 해역에서는 올 초에 아덴만을 통항하던 화물선을 대상으로 해적공격이 1건 발생하였다.

 

  한편, 올해 1분기에 발생한 전 세계 해적사고 중 우리나라 선박과 선원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준성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관리과장은 최근 서아프리카 해역에서의 선원납치 등 인명피해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리 선사와 선원들의 철저한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다.”라며, “정부에서도 해적 관련 정보의 전파, 선박모니터링 강화 등 피해예방 대책을 꾸준히 이행하고, 서아프리카 현지 선사 및 외교공관 등 관계자들과의 협력 강화 등을 통해 우리 선사와 국민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157건 234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Hiddencar.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