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어촌뉴딜300 철저한 사업관리로 올해 가시적 성과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62회 작성일 21-03-03 00:00

본문

btn_textview.gif

어촌뉴딜300 철저한 사업관리로 올해 가시적 성과낸다

- 해수부, 3. 4.~19. 어촌뉴딜 사업 대상지 43개소 현장점검 실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34()부터 19()까지 어촌뉴딜300 사업 대상지 현장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2019년에 처음 시작된 어촌뉴딜300사업은 어촌의 혁신성장을 위해 낙후된 선착장 등 어촌 생활SOC*를 개선하여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어업활동 증진과 해상교통 편의 개선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2019년에 70, 2020년에 120, 올해 60곳의 대상지를 선정하여 사업을 추진 중이다.

 

   * 일상생활에 필요한 필수 기반시설

 

  이번 현장점검은 올해 사업이 종료되는 2019년 사업지의 공정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수산부와 어촌어항재생사업추진지원단이 합동점검단을 구성하여 실시한다.

 

  현장점검 대상은 2019년 사업대상지 총 70곳 중 43*으로, 시설물별 공정률, 재정 집행현황, 보조금의 적정사용 여부, 기본계획에 따른 설계?공 여부 등 전방위적인 점검이 진행될 예정이다. 현장점검 첫 날인 3 4일에는 해양수산부 어촌어항재생기획단장이 전남도청을 방문하여 점검대상지가 가장 많은 전남지역의 재정 집행현황도 점검할 예정이다.

 

   * 인천 5개소, 경기 1개소, 충남 6개소, 전북 5개소, 전남 26개소, 경남 15개소, 부산 1개소, 울산 1개소, 경북 5개소, 강원 2개소, 제주 3개소

 

< 2019년 선정 어촌뉴딜 생활SOC 시설물 및 대상지 >

부문

세부내역(70개소, 314개 시설)

대표 대상지

해상교통 개선

여객선 접안시설(11개소)

만재(신안), 소야리(옹진), 하리?가오치(통영), 가의도(태안), 솔지(완도)

대합실, 화장실 등 여객 편의시설(19개소)

신월(무안), 비양도(제주), 도비도(당진), 구성(해남), 창유(진도), 이수도(거제)

어업활동 증진

어선 접안시설(44개소)

석호(울진), 중왕(서산), 달리도(목포),
생낌(신안), 효자(보령), 두모(해남)

공동작업장, 야적장 등 기능편익시설(11개소)

가학(완도), 월호(여수), 송이도(영광), 서중(강진), 송군(진도), 죽포?월호(여수)

어구?어망창고 등 환경개선시설(25개소)

하우리(신안), 상진(보성), 신월(무안), 명도(군산), 입암(고성), 법성(영광)

안전 및 삶의 질 제고

안전난간, 방파제, 호안 등 안전시설(39개소)

동암(기장), 후포(강화), 수렴(경주), 천부(울릉), 명동(창원), 산등(통영)

어민?마을회관 등 주민편익 시설(35개소)

월호(여수), 백미(화성), 이수도(거제), 신창2(포항), 어달(동해)

여가복합공간, 산책로 등 레저관광시설(130개소)

학동(거제), 백미(화성), 동암(기장), 야달(), 동호(고창), 효자(보령), 도비도(당진)

 

해양수산부는 이번 현장점검을 통해 대상지별 대표성과를 발굴하여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면 국민들이 어촌지역을 방문하여 달라진 어촌을 직접 확인하고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수호 해양수산부 어촌어항재생기획단장은 어촌 생활SOC 개선으로 해상교통이 편리해지고 어업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은 물론, 어촌의 안전이 강화되고 주민들의 삶의 질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특히 올해는 2019년 대상지의 사업이 종료되는 만큼, 가시적인 성과가 날 수 도록 사업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