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8월 연근해 어업생산량 7.9만 톤, 전년 8월보다 1.2% 감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81회 작성일 19-10-07 09:00

본문

btn_textview.gif

8월 연근해 어업생산량 7.9만 톤, 전년 8월보다 1.2% 감소
- 오징어·전갱이·꽃게 생산량은 증가, 고등어·참조기 생산량은 감소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19년 8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지난해 8월에 비해 1.2% 감소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올해 8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7만 9천 톤으로 지난해 8월(8만 톤)에 비해 1.2% 감소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2만 5천 톤, 오징어 1만 톤, 고등어 7천 3백 톤, 전갱이 6천 2백 톤, 갈치 4천 6백 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증감추이를 보면 오징어(102%↑), 전갱이(121%↑), 꽃게(81%↑) 등의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였고, 멸치, 갈치, 청어는 전년 수준, 고등어(58%↓), 참조기(29%↓)는 전년보다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오징어는 올해 1~3월 주산란장인 동중국해에서 적정산란 수온이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산란환경이 조성되고 유생밀도가 증가(전년 대비 3배)하여 여름철 주 어장인 서해에서의 어군밀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전갱이는 제주남부해역에서의 적정서식수온 형성에 따른 어군밀도 증가와 주 업종인 대형선망어업의 어획노력량 증가*에 따라 전년보다 어획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 고등어 어획부진에 따른 대형선망어업의 전갱이 어획노력량 증가

** 대형선망 전갱이 어획량: (2018. 8.) 862톤 → (2019. 8.) 2,745톤
 
꽃게는 2018년 산란기에 실시한 유생분포 밀도조사에서 전년에 비해 유생밀도가 약 2배 증가(86%↑)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장으로의 유입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어획량이 증가했다.
 
반면, 고등어는 주 어장인 제주도 주변해역의 남해 동부해역 및 서해 남부해역에 걸쳐 전년?평년대비 1~2℃의 저수온이 분포하여 어군이 분산되고, 잦은 태풍으로 인해 조업일수가 감소하면서 어획이 부진했다. 
 
참조기는 주 업종인 유자망어업이 금어기(4. 22.~8. 10.)를 끝내고 조업을 재개하였으나, 제주 서부해역의 저수온 분포에 따른 어군밀도 감소로 전년에 비해 어획이 부진하였다.
 
2019년 8월 연근해어업 생산액은 전년(2,955억 원)보다 11.3% 증가한 3,288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어종별 생산액은 전년보다 오징어(690억)가 87%, 꽃게(238억)가 76%, 전갱이(68억)가 171% 증가했고, 멸치(358억), 갈치(317억), 가자미류(68억)는 전년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참조기(66억)는 전년보다 50% 감소하였으며, 고등어(99억)도 전년에 비해 43% 감소하였다.
 
한편, 올해 8월까지의 연근해어업 생산량(누계)은 총 52만 9천 톤으로 전년 동기(51만 5천 톤)에 비해 2.7% 증가했으며, 8월까지의 연근해어업 생산액(누계)은 2조 350억 원으로 전년 동기(2조 267억 원)에 비해 3.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4,157건 209 페이지
게시물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