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부산항 신항 운영사 선정,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

2019.11.29 해양수산부
인쇄 목록

해양수산부는 “2005년부터 추진한 부산 북항 터미널 통합 및 대형화는 운영사의 손실여부와는 별개의 사안으로, 발생하지도 않은 예상 손실에 대한 보상책으로 북항 통합 운영사에 신항 2-5단계 운영권을 주기로 했다는 기사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부두 운영사 선정은 관련 법령 및 절차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지고 있다”면서 “기사에서 보도한 특정 운영사에 대한 특혜 지원 의혹은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11월 28일 뉴스 1 <부산신항 2-5단계 운영사 선정 입찰 ‘특혜잡음’>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정부는 2014년 해운경기 침체로 북항 운영사들의 손실이 예상되면서 통합 운영사 설립을 유도했고, 이 과정에서 신항 2-5단계 운영권을 당근책으로 제시하였음

ㅇ 북항 통합 운영사는 북항 물동량 증대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늘었으나, 해수부는 결과적으로 발생하지도 않은 예상 손실에 대한 보상책으로 북항 통합 운영사에게 2-5단계 운영권을 주기로 하였음

ㅇ 업계에서는 통합운영사에 운영권을 줄 명분이 사라졌고, 공개입찰원칙을 어긴 특혜행정이라는 반발이 나오며, 일각에서는 해수부 전·현직 고위직과 특정기업 간 유착관계까지 의심하고 있음

[해수부 설명]

□ 2014년 해운경기 침체로 북항 운영사들의 손실이 예상되면서 통합 운영사 설립을 유도했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 터미널 통합 및 대형화는 소규모 운영사 난립문제를 해소하고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2005년부터 추진되고,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며 운영사의 손실여부와는 별개의 사안입니다.

□ 해수부는 발생하지도 않은 예상 손실에 대한 보상책으로 북항 통합 운영사에 2-5단계 운영권을 주기로 했다는 내용 또한 사실과 다릅니다.

- 신항 2-5단계 운영권 제공은 북항 운영사 통합을 촉진하기 위해 2015년에 이미 결정된 사항이며, 2018년 9월「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체계 개편방안」을 통해 이미 대외적으로 발표한 사항입니다. 

* 「부산항 세계 2대 환적거점항 육성 및 특화발전 전략」(국무회의, ‘15.7) 및「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 체계 개편방안」(국무회의, ’18.10)

- 북항 통합 지원 정책 발표 이후 2016년 신선대·감만부두 통합으로 부산항터미널(BPT)이 출범하였으며, 통합 효과로 매출과 영업이익 등 경영 여건이 개선되었습니다. 

- 부산항터미널(BPT)은 통상적인 기업과 마찬가지로 주주 구성이 변동되었으며, 대주주 기업인 장금상선의 경우 ‘15년 북항 통합 지원 정책 발표 이후 주주사로 참여하였습니다.

□ 북항 통합 운영사에게 부산항 신항 운영권을 줄 명분이 사라졌고, 공개입찰원칙을 어긴 특혜행정이라는 의혹 내용도 사실이 아닙니다.

-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부두 운영사 선정은 부산항만공사가 국가계약법, 항만공사법 등 관련 법령과 절차에 따라 정부와의 협의 하에 경쟁입찰방식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특정 기업에 대한 어떠한 특혜도 없으며, 해수부 전·현직 고위직과 특정 기업 간 유착관계 의혹은 사실이 아닙니다.

□ 해양수산부는 앞으로도 부산항 물동량 증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산항 터미널 체계를 저비용 고효율 구조로 개편해나가겠습니다.

문의 :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044-200-5753), 부산항만공사 운영본부(051-999-3110)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